대한요트협회는 요트경기를 좋아하는 요트팬, 요트경기에 관심이 있는 분들과 미디어 관계자들께 세일링 스포츠에 대한 흥미있고 심도있는 내용의 읽을거리를 제공하고자 특별 기획으로 해당 분야 전문가가 작성한 글을 게시합니다. 많은 관심과 기대 바랍니다.
그 첫번째 이야기 " 하지민 선수 출전, 2024파리올림픽 ILCA7종목 소개 및 관전 포인트"입니다.
□ 올림픽 요트경기 방식 소개
▷ 경기 종류와 방식
올림픽 요트 경기에는 총 10개의 클래스/부가 있으며 각 클래스는 요트의 크기와 설계에 따라 구분됩니다. 모노헐(단일선체)과 멀티헐(다중 선체), 싱글-핸디드(1인승)과 더블-핸디드(2인승)로 나뉩니다. 요트경기에서는 세부 경기정을 지칭하는 명칭을 “클래스(Class)”라고 합니다.
요트경기는 정해진 코스를 가장 빠르게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기입니다. 코스는 바람의 방향과 세기, 물의 흐름을 고려해 설정되며, 선수들은 최적의 항로를 찾아 경쟁합니다.
□ 2024 파리올림픽에서 도입된 새로운 변경사항
•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남자부 5종, 여자부 4종, 혼성 1종을 통틀어 전체 선수 성비를 남자 50%와 여자 50%로 여자 선수의 비중이 상향되었으며, 이번 파리올림픽에서는 남자부 4종, 여자부 4종, 혼성 2종으로 종목 수에서도 남자부와 여자부의 비중이 동등하게 되었음
• 파리올림픽에 처음으로 카이트보딩이 포함되었으며 하계 올림픽 종목을 통틀어 가장 빠른 속도의 경기가 될 것임 (시속 80Km 까지)
• 오랫동안 올림픽의 핵심 종목으로 유지되고 있는 "470"클래스가 처음으로 혼성으로 변경되어 진행됨
• 윈드서핑이 기존 RS:X에서 iQFoil로 변경되었음
• 윈드서핑 iQFoil과 카이트보딩은 기존의 메달레이스가 아닌 메달시리즈로 운영
□ 2024 파리올림픽의 경기 방식 (Format of Racing)
1. 오프닝 시리즈(Opening Series)
여러 번의 레이스로 구성되며, 각 레이스의 성적을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합니다. 파리올림픽 오프닝 시리즈(Opening Series)는 세부종목에 따라 총10경기 또는 총12경기이며 하루에 실시할 수 있는 경기수도 정해져 있습니다.
[2024 파리올림픽 범주지시서 6.2 (Sailing Instructions 6.2) 중]
2. 메달 레이스(Medal Race)
ILCA7을 포함한 딩기 종목에 적용하며, 오프닝 시리즈에서 상위 10위 선수들이 참가하는 결승 레이스입니다. 메달 레이스 점수는 두 배로 반영되며, 최종 순위 결정에 큰 영향을 마칩니다.
※ 메달 시리즈 (Medal Series)는 윈드서핑(iQFoil)과 카이트보딩 종목에 적용하며 준준결승전-준결승전-결승전으로 이어지는 승자 진출 방식의 결승 경기로 구성됩니다.
▷ 점수 계산 방식
각 경기는 낮은 점수가 유리한 방식으로 점수가 계산됩니다. 각 레이스에서의 순위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며, 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 됩니다:
• 1위: 1점
• 2위: 2점
• 3위: 3점
• ...
• N위: N점
각 선수는 여러 차례의 레이스에서 얻은 점수를 합산하며, 점수가 가장 낮은 순서대로 종합순위가 산정됩니다. 만약 레이스 도중 실격되거나 완주하지 못한 경우, 경기에 출전한 척수에 1점을 추가한 점수(N+1점)를 부여받습니다.
[참고: 도쿄올림픽 ILCA7 최종 성적표]
- 총 10번의 오프닝 시리즈 경기와 상위 10명의 선수만 참가하는 메달레이스 (MR)을 합산하여 순위결정
- 범주지시서에 규정된 대로 오프닝 시리즈 경기 중 가장 나쁜 점수 1개는 제외함 (붉은색 취소선 점수)
- 메달레이스는 더블포인트 부여. (1위 2점, 2위 4점...)
- Total 점수는 버리는 점수를 포함한 전체 총점
- Net 점수는 버리는 점수를 제외한 순점수로 순위결정의 기준이 됨
▷ 코스의 구성
올림픽 요트 경기 코스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보통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스타트 라인(Start Line): 출발 지점으로, 출발 신호와 함께 모든 요트가 출발합니다.
• 업윈드 구간 (Upwind Leg): 바람을 향해 세일링하는 구간으로, 경기정은 바람을 향해 직선으로 추진할 수 없기 때문에 지그재그 항로를 택해야 합니다.
• 다운윈드 구간 (Downwind Leg): 바람을 등지고 항해하는 구간으로, 속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 게이트(Gate): 특정 지점을 통과해야 하는 구간으로, 코스의 방향 전환점 역할을 합니다.
• 피니시 라인(Finish Line): 경기의 종료 지점으로, 이 라인을 먼저 통과하는 순서대로 순위가 결정됩니다.
올림픽 요트 세일링 경기는 다양한 코스에서 진행되며, 각 코스는 선수들이 기술과 전략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각 코스 (Trapezoid Course)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코스의 구성
사각 코스(Trapezoid Course)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레그(Leg) 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레그는 서로 다른 항해 조건을 제공합니다. 이 코스는 보통 다음과 같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스타트 라인(Start Line)
위치: 두 개의 부표 사이에 설정됩니다.
특징: 모든 요트가 동시에 출발하며, 빠르고 좋은 위치에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윈드워드 마크(Windward Mark 풍상마크)
위치: 코스의 첫 번째 목표 지점으로, 바람을 맞받아 항해하는 구간의 끝에 위치합니다.
특징: 선수들은 지그재그 항로를 통해 바람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 마크를 돌아야 합니다.
• 리워드 마크(Leeward Mark 풍하마크)
위치: 바람을 등지고 항해하는 구간의 끝에 위치합니다.
특징: 빠르게 내려오는 기술이 중요하며, 바람의 변화에 따라 유리한 항로를 선택해야 합니다.
• 리워드 게이트 (Leeward Gate)
위치: 두 개의 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수들은 이 사이를 통과해야 합니다.
특징: 선택의 여지가 주어지며, 전략적으로 어느 쪽을 선택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 마크(Marks)
위치: 코스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부표들로, 코스를 사다리꼴 모양으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특징: 다양한 항해 기술을 요구하며, 이 마크들을 돌며 사다리꼴 형태의 코스를 완성합니다.
• 피니시 라인(Finish Line)
위치: 두 개의 부표 사이에 설정되며, 레이스의 마지막 구간입니다.
특징: 피니시 라인을 먼저 통과하는 순서대로 순위가 결정됩니다.
2) 사각 코스의 항해 전략
사각 코스는 선수들에게 다양한 전략적 선택을 요구합니다. 바람의 방향과 세기, 물의 흐름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 바람의 활용:
• 윈드워드 구간에서는 바람을 맞받아 항해해야 하므로, 선수들은 지그재그로 항로를 설정해 바람을 최대한 이용해야 합니다.
• 리워드 구간에서는 바람을 등지고 내려가므로, 스피드를 최대한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게이트 선택
- 옵션 게이트를 통과할 때, 어느 쪽이 더 유리한지 빠르게 판단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이는 바람의 변화와 다른 선수들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트라피즈 마크 돌기
- 다양한 각도에서 항해해야 하므로, 선수들은 각 구간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적응해야 합니다.
- 코스의 중간 지점에서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피니시 전략
- 마지막 구간에서는 모든 전략을 종합하여 피니시 라인을 빠르게 통과해야 합니다.
- 최종 스퍼트를 위해 에너지를 잘 관리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사각 코스는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항해 조건으로 인해 선수들의 종합적인 세일링 능력을 시험하는데 최적화된 코스입니다. 선수들은 각 구간에서 최적의 전략을 세우고 빠르게 대응해야 하며, 이는 경기를 더욱 흥미롭게 만듭니다. 파리올림픽 ILCA7에서는 오프닝시리즈는 사각코스, 메달레이스는 풍상-풍하코스가 사용될 예정입니다.
사각 코스 (출처: BBC Sports - Olympic Sailing)
풍상-풍하 코스 (출처: BBC Sports - Olympic Sailing)
(2024 파리올림픽 범주지시서 붙임 D 코스 도식도 중)
월드세일링의 파리올림픽 홈페이지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ailing.org/events/
경기 관련 문서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학인할 수 있습니다. (범주지시서, 대회공고 등)
World Sailing | Paris 2024 Olympic Games - Documents
대회 일정 및 결과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World Sailing | Paris 2024 Olympic Games - Schedule and Results Centre
▷ 요트경기의 특징 및 관전 포인트
요트 경기는 자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종목입니다. 바람의 방향과 세기, 물의 흐름, 파도의 높이 등이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며, 선수들은 이러한 변수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경기 중 전략적인 판단과 순간적인 대응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관전 포인트]
• 스타트: 출발 시점에서의 위치 선점과 빠른 출발은 경기의 승패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참고사진: 도쿄올림픽 ILCA7 메달레이스 스타트 20초전]
• 바람 활용: 선수들이 바람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특히 바람의 방향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보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 항로 선택: 각 선수들이 최적의 항로를 선택해 어떻게 경쟁하는지를 비교하면서 보는 것이 재미있습니다.
• 메달 레이스: 상위 선수들 간의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메달 레이스는 가장 큰 관전 포인트입니다.
올림픽 요트 경기는 선수들의 뛰어난 기술과 전략, 그리고 자연 요소와의 상호작용이 돋보이는 종목입니다. 각 선수의 경기 운영 능력과 순간적인 판단력을 주목해보면 더욱 흥미로운 관람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지민 선수가 이번 파리올림픽에 출전하는 ILCA7은 어떤 종목일까요?
□ ILCA7 종목소개 및 경기의 특징
ILCA7 종목 유래는 싱글핸드 레이저(Laser)요트이며, 1970년대 초반 캐나다 올림픽 선수 (이안 부루스)와 세일메이커(한스포그) 요트기자 (블루스커비) 3명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ILCA7 유소년, 청소년, 프로세일, 동호인들에게 세계 모든 국가에서 인기가 가장 많은 요트의 세부종목 중 하나로, 올림픽 경기에서 여성, 남성 1인승 종목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이 클래스는 뛰어난 균형성과 스피드를 자랑하며, 세일러의 기술과 체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므로 올림픽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종목 중 하나입니다.
다음은 ILCA7의 주요 특징과 올림픽에서의 역할에 대한 소개입니다.
[ILCA7 경기정 제원]
• 길이 4.23m
• 폭 1.42m
• 선체무게 58kg
• 총 세일면적 7.06㎡
• 승선인원 1명
• 적정 선수 몸무게 75~85kg
[사진: 2020 도쿄올림픽 ILCA7 -역주하는 하지민 선수]
▷ 스키퍼(키잡이 선수) 요건
• 필요한 기술: 뛰어난 세일링 기술, 전략적 사고, 빠른 의사 결정 능력
• 신체적 요건: 바람과 파도에 맞서 보트를 제어할 수 있는 체력과 민첩성이 매우 중요
▷ 올림픽에서의 ILCA7 (기존 명칭: 레이저 스탠다드)
• 올림픽 채택: ILCA7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남성 부문 종목으로 처음 채택되었습니다.
• 최근 올림픽: 2020년 도쿄 올림픽부터 ILCA7이라는 명칭으로 경기가 진행되었습니다.
• 경쟁력: ILCA7는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세일러들이 경쟁하는 종목으로, 기술적 완성도와 정신적, 신체적 준비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 주요 대회 및 역사
• 세계선수권 대회: ILCA7 세계 선수권 대회는 매년 열리며, 요트계에 가장 중요한 종목 중 하나입니다.
• 유럽선수권 대회: 유럽에서도 여러 주요 대회가 열리며, 많은 유망한 세일러들이 참여합니다.
• 역사: ILCA7는 1969년 Bruce Kirby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빠르게 인기를 얻어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올림픽 경기에서도 중요한 종목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올림픽 경기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선정되어, 현재 2024년 파리올림픽까지 28년을 오면서, 브라질 2회 우승, 영국 2회 우승, 호주 3회 우승으로 역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
▷ 장비 및 종목규정
• 장비 규격: ILCA는 모든 장비와 보트가 동일한 규격을 따라야 하며, 이는 모든 참가자에게 공정한 경쟁 환경을 제공합니다.
• 계측: 올림픽 및 국제 대회에서는 모든 장비가 철저한 검수를 거치며, 규정에 맞지 않는 장비는 사용이 금지됩니다.
▷ ILCA의 종류
ILCA는 세일 크기에 따라 3종으로 나뉩니다.
• ILCA 4 (기존 명칭: 레이저 4.7)
설명: 주로 청소년과 초보자를 위한 클래스입니다. 세일 면적이 4.7m²로 가장 작아, 비교적 작은 체구의 선수들에게 적합합니다.
특징: 초보자와 젊은 세일러들이 기술을 연마하고 경험을 쌓기에 이상적인 클래스입니다.
• ILCA 6 (기존 명칭: 레이저 레이디얼(Radial))
설명: 여성과 체구가 작은 성인 남성들을 위한 클래스입니다. 세일 면적은 5.7m²입니다.
특징: 올림픽 여자 1인승 요트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으며, 체구와 체력에 맞춘 조종이 가능하여 많은 선수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 ILCA 7 (기존 명칭: 레이저 스탠다드(Standard))
설명: 성인 남성을 위한 클래스입니다. 세일 면적이 7.06m²로 가장 큽니다.
특징: 올림픽 남자 1인승 요트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으며, 높은 체력과 기술을 요구합니다.
▷ 훈련 및 준비
• 훈련: ILCA7 세일러들은 체력 훈련, 기술 훈련, 전술 훈련을 포함한 종합적인 훈련을 통해 경기에 대비합니다.
• 준비: 바람과 날씨를 예측하고, 경기 코스를 분석하며, 심리적인 준비 또한 중요합니다.
ILCA7는 단순한 구조지만 깊이 있는 전략과 기술이 요구되는 세일링 종목으로, 올림픽 경기에서 세일러들의 뛰어난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매력적인 클래스입니다.
[파리올림픽 ILCA7 참가국 현황 (출전권 획득 선수)]
[출처:월드세일링 www.sailing.org]
위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파리올림픽 출전을 위해 치열한 대륙별 올림픽 예선을 통과한 것으로도 선수의 경기력을 인정받는 세계(43개국) ILCA7 선수들만 2024 파리올림픽에 출전합니다.
이번 파리 올림픽 경기는 8월 1일에서 8월 5일까지 예선경기가 이루어져 있으며, 8월 6일에는 상위 10개국선수로 구성된 메달레이스 결승경기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나머지 이틀은 요트 특성상 자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종목으로서 예비 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연의 환경적인 이유로 못 다한 경기를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 경기 일정
하지민 선수가 출전하는 ILCA7 종목 "MEN’S DINGHY"
▷ 관전 포인트, 주요 선수 소개
지난 2020도쿄올림픽에서 호주의 Matt Wearn선수가 1위를 차지하였는데, 2024년 올림픽 참가 티켓을 획득할 수 있는 경기에서도 여전히 좋은 성적으로 1위를 차지하며 참가 티켓을 획득했습니다. 과연 이번 2024 파리올림픽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2연패를 달성할 수 있을지 지켜보는 재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2024 올림픽 참가 티켓 획득 시합을 보면 2020도쿄올림픽에서 보지 못한 새로운 선수들도 많이 나와서 좋은 성적을 거뒀는데 이번 파리올림픽에서도 좋은 성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지 지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 대한민국의 하지민 선수도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 13위를,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7위를 차지하며 점차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데 이번 파리올림픽에서는 더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올림픽대회 경험이 많은 훌륭한 코치와 훈련을 하며 많은 성장을 이루어 냈으며 이번 파리올림픽에서 메달권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파리올림픽 세일링 경기장 소개
▷ 경기 장소: 마르세유
2024 파리 올림픽의 세일링 경기는 프랑스 남부의 항구 도시 마르세유에서 개최됩니다. 마르세유는 지중해와 접해 있으며, 아름다운 해안선과 풍부한 항해 역사를 자랑하는 도시입니다. 이 지역은 세일링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하며, 선수들에게 다양한 도전 과제를 안겨줍니다.
▷ 경기장 위치 및 특징
• 위치: 마르세유는 프랑스의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올림픽 세일링 경기는 마르세유 항구와 인근 해역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 특징: 이 지역은 강한 바람과 파도로 유명하며, 세일링 경기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바람 조건과 해류, 지형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선수들에게 고도의 기술과 전략을 요구합니다.
▷ 경기장 환경
• 기후: 마르세유는 지중해성 기후로, 여름철에는 따뜻하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집니다. 경기 기간 동안 평균 기온은 약 25~30도 정도로 예상되며, 맑은 날씨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바람 조건: 마르세유 해역은 특히 '미스트랄'이라는 강한 북서풍이 부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바람은 세일링 경기에 큰 변수가 되며, 선수들은 이러한 바람 조건에 적응해야 합니다.
• 해류와 파도: 지중해의 해류와 파도도 경기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선수들은 해류와 파도의 패턴을 분석하고 이에 맞춰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출처: 2024 파리올림픽 홈페이지 Marseille Marina | Paris 2024 (olympics.com)
[출처: World Sailing]
[출처: World Sailing]
그럼 이제 2024년 파리올림픽 ILCA7 클래스에 출전하는...‘하지민’ 선수를 만나볼까요?
□ 대한민국 요트선수, 하지민
하지민 선수는 부산 주니어 요트클럽에서 Optimist 부터 시작하여 ILCA6, ILCA7으로 2007년 3월 당시 실업팀 형들을 제치고 고등학교 3학년 재학 중 국가대표 1위 선수로 처음 선발되었습니다. 대한민국 간판 요트 선수로 ILCA7(Laser Standard) 클래스 아시아 최고의 선수로 성장하였습니다. 하지민 선수는 2008 베이징, 2012 런던, 2016 리우, 2020 도쿄, 2024 파리올림픽까지 5회 연속 출전하였으며 아시안게임에서는 3개의 금메달과 1개의 은메달을 획득하였습니다. 아시아 1인자를 넘어 세계 최강의 선수들과 이번 파리올림픽에서 메달을 다툴 수 있는 경쟁력을 갖고 있는 선수입니다. ILCA 세계 Top10 선수들과 월드클래스 코치들 역시 눈 여겨 보는 선수이기도 합니다.
이름: 하지민
출생: 1989년 3월 21일
소속: 해운대구청 요트팀
• 올림픽 출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 28위
2012년 런던 올림픽 : 24위
2016년 리우 올림픽 : 13위
2020년 도쿄 올림픽 : 7위
• 아시안게임 출전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 1위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 1위
2018년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 1위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 : 2위
▷ 하지민 선수의 특징 및 강점
• 기술적 숙련도: 하지민 선수는 뛰어난 세일링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후와 바람
조건에서 안정된 경기 운영을 보여줍니다. 특히 파도가 큰 해면에서 최고의 스피드를 발휘하는 강점을 갖고 있는 선수입니다.
• 체력과 민첩성: 경기에서는 스키퍼의 체력과 민첩성이 중요한데, 하지민 선수는 유산소, 근지구력, 민첩성이 일반 선수들보다 뛰어나며, 컨디션 관리와 평상 시 체력훈련을 강도 높게 하는 선수입니다.
• 경험: 다양한 국제 대회와 올림픽에 출전한 경험이 풍부하며, 이를 바탕으로 뛰어난 경기 운영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해면 상태와 바람을 읽는 것들이 매우 까다로워서 실수가 있었지만 그 경험을 통해 이번 파리올림픽에서는 더 높은 자리에 위치하길 기대합니다.
▷ 기타 활동
• 후배들에게 모범을 보임: 하지민 선수는 한국 요트 발전을 위해 후배 선수들에게 자신의 경험과 기술을 전수하는 데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 홍보 활동: 요트 종목의 대중화를 위해 여러 매체와의 인터뷰, 이벤트 참가 등을 통해 요트의 매력을 알리는데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 파리올림픽에서의 하지민 선수 경기 관전 포인트
스타트와 피니시는 요트 경기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각각의 기술과 전략이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더불어 그의 보트핸들링과 전술(Tactic)이 매 경기마다 어떻게 펼쳐지는지 기대하며 다음의 관전 포인트를 알려드립니다.
▷ 하지민 선수의 세일링기술과 전략
• 마르세유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미스트랄'이라는 강한 북서풍을 하지민 선수가 그의 풍부한 경험과 뛰어난 기술을 바탕으로 매 경기 운영 능력과 순간적인 판단력을 주목해서 볼만합니다. 특히 바람을 활용한 항로선택과 요트의 균형 유지 기술을 집중적으로 관찰해보세요.
▷ 하지민 선수의 스타트 전략
준비 및 위치 선정
• 경기 시작 전에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면밀히 분석하여 최적의 스타트 위치를 선정하여 경기의 우위를 점하는지 주목해볼 수 있습니다.
* 스타트 라인에서의 위치는 바람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곳으로 선택되며, 보통 스타트 라인의 바람이 유리한 쪽이나 공간이 넓은 쪽을 선호함
타이밍
• 스타트 타이밍은 요트 경기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하지민 선수가 경기 시작 신호와 동시에 최대한 빠르게 출발할 수 있도록 어떻게 준비하는지 관찰해볼 수 있습니다.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카운트다운을 이용하고, 신호와 동시에 스피드를 어떻게 최대한 높이는 것인지 주목해보세요.
가속 및 초기 스피드
• 스타트 직후 빠르게 가속하여 초기 스피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하지민 선수가 효율적인 세일트림(돛조정)과 보트밸런스와 보트트림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어떻게 최대한 빠르게 가속하는지 관찰해보세요.
▷ 하지민 선수의 피니시 전략
코스 최적화
• 피니시 라인을 향해 나아갈 때 하지민 선수가 최단 거리와 가장 유리한 바람을 활용할 수 있는 코스를 어떻게 선택하는지 관찰해보세요.
스피드 유지
• 피니시 라인에 가까워질수록 스피드를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민 선수가 세일 트림과 보트핸들링 (돛과 키의 조작)을 통해 최적의 스피드를 어떻게 유지하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순간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고 최대한 빠르게 피니시라인을 어떻게 통과하는지 응원하며 지켜봐주세요.
위치 방어
• 피니시 직전에 다른 선수들이 추월하려는 시도를 방어해야 합니다. 하지민 선수는 자신의 위치를 매순간 바람과 파도의 다른 조건에서 어떻게 잘 방어하며 최대한 빠르게 피니시 라인을 통과해나가는지 관찰해볼 수 있습니다.
• 바람의 방향과 다른 선수들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방어와 공격을 균형 있게 하는 그의 세일링 능력을 어떻게 수행해나가는지 응원하며 관찰할 수 있습니다!
파리올림픽 요트경기 특히 ILCA7 경기는 선수들의 뛰어난 기술과 전략, 그리고 자연 요소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종목입니다.
하지민 선수의 뛰어난 전략적 사고와 순간 판단력이 파리올림픽 경기에서 가장 빛나길 응원하고 응원합니다!
작성자 : 진홍철 (대한요트협회 이사)
- 현)대한요트협회 이사, 전)국가대표 감독
- 현)여수시청 감독
- 2020 도쿄올림픽 요트경기 ILCA7 메달레이스 KBS 중계 해설
- 1998, 2002 아시안게임 OK딩기 금메달
- 1994 아시안게임 ILCA7 은메달